Git - Reset 명확히 알고 가기
지금까지 reset 명령을 실행하는 기본 형태와 사용 방법을 살펴봤다. reset 명령을 실행할 때 경로를 지정하면 1단계를 건너뛰고 정해진 경로의 파일에만 나머지 reset 단계를 적용한다. 이는 당연한 이야기다. HEAD는 포인터인데 경로에 따라 파일별로 기준이 되는 커밋을 부분적으로 적용하는 건 불가능하다. 하지만, Index나 워킹 디렉토리는 일부분만 갱신할 수 있다. 따라서 2, 3단계는 가능하다. 이 명령을 실행한 것과 같은 결과를 만들려면 워
git-scm.com
위에 내용 참고
내 식대로 정리
git을 사용하다가 pull 받을때, push하다 충돌생겼을때,
이전 버전으로 돌리고싶을때 어떻게 하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.
정리할 내용
reset
revert
stash
1. reset 사용법
상황 개발하던 중 코드가 꼬여서 pull 받았던 시점으로 돌아가고싶은경우
'IT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ntelij 기존 프로젝트 Github repository 생성하기 (0) | 2022.01.14 |
---|---|
git 강제 pull/push (0) | 2020.11.26 |
Git submodule? (0) | 2020.03.07 |
Git - tag 긋기 (0) | 2019.06.21 |
Git 개념 (2) - pull / commit / push (0) | 2019.05.22 |